📑 등기부등본 보는 법 A to Z|경매 전 꼭 알아야 할 권리 분석 기초
“이 물건, 정말 낙찰받아도 괜찮을까?”
경매를 시작하면서 가장 많이 듣는 말입니다.
바로
‘권리 분석’
에 대한 고민이죠.
경매는 가격이 싸다고 무조건 좋은 게 아닙니다. 아무리 저렴해도 선순위 임차인, 가처분, 가등기 같은 위험요소가 있다면 그 물건은 절대 낙찰받아선 안 되는 ‘하자 물건’이 될 수 있어요.
이 글에서는 초보자도 이해할 수 있도록 등기부등본을 해석하는 법을 A부터 Z까지 단계별로 알려드릴게요. 📌 경매 입찰 전, 무조건 읽고 분석하는 기본 문서! 등기부등본의 모든 것, 지금 시작합니다.
📘 등기부등본이란?
등기부등본은 말 그대로 ‘해당 부동산의 이력서’입니다. 이 집의 주인이 누구인지, 어떤 권리가 설정되어 있는지, 지금 누가 점유하고 있고 어떤 채무관계가 얽혀 있는지를
공식적으로 기록한 문서
예요.
📂 등기부등본은 총 3개 섹션으로 나뉩니다
- 표제부 – 부동산의 기본 정보 (소재지, 면적, 구조 등)
- 갑구 – 소유권과 관련된 권리 (소유권 변동, 가처분 등)
- 을구 – 소유권 이외 권리 (근저당권, 전세권, 지상권 등)
👉 경매에서 가장 중요하게 봐야 할 건 바로 ‘갑구’와 ‘을구’입니다!
📍 표제부 – 부동산의 주민등록증
표제부는 해당 부동산이 어떤 곳인지 나타내는 기본 정보입니다.
- 주소지 (지번, 아파트 동·호수 등)
- 면적 (전용면적, 대지권 등)
- 건축물 구조 및 용도
💡 주의할 점: 등기부에 적힌 대지권 미등기 여부 확인하기! (아파트인데 대지권이 없으면 소유권 문제가 생길 수 있어요)
📌 갑구 – 소유권과 관련된 모든 기록
갑구는 해당 부동산의 소유권이 어떻게 변동되어 왔는지를 보여주는 영역입니다.
✔️ 주요 항목
- 소유권 이전 등기 – 언제, 누구에게, 어떤 이유로 소유권이 넘어갔는지
- 가처분 – 분쟁 중이라 매매·처분 제한이 있을 수 있음
- 가등기 – 본등기를 위한 예약등기. 경매 시 우선순위 주의!
- 압류 – 세금 체납 등으로 압류된 기록. 말소기준권리보다 앞서면 위험!
💥 위험 신호
- ❗ 가처분이 말소기준권리보다 먼저 있다면? → 입찰 자제!
- ❗ 가등기 후 근저당 설정? → 낙찰 시 소유권 다툼 가능성 있음
📌 을구 – 돈과 관련된 권리, 꼭 체크!
을구에는 ‘금전 관계’ 중심의 권리가 기록되어 있습니다.
주로 은행 근저당, 전세권, 지상권 등이 들어오죠.
📂 대표 항목
- 근저당권 – 은행이 설정한 담보권. 보통 이게 경매 원인이 됨
- 전세권 – 보증금을 걸고 전세권 설정한 경우
- 지상권 – 토지 위에 건물 지을 수 있는 권리
- 임차권 등기 – 확정일자 받은 임차인의 권리 등기
💣 꼭 체크!
- 🏷️ ‘말소기준권리’보다 앞선 권리는 낙찰자가 떠안을 수 있음
- 📌 전세보증금 보호 여부 → 확정일자 + 전입일 + 대항력 확인
🔍 말소기준권리란 무엇인가요?
경매에서 가장 중요한 개념 중 하나가 ‘말소기준권리’입니다.
📌 말소기준권리란?
경매로 인해 이 권리 이후에 설정된 모든 권리가 말소되는 기준점이 되는 권리입니다.
예시:
- ① 근저당권 (2021.03.10)
- ② 임차권 (2021.05.01)
- ③ 압류 (2021.07.20)
이 경우,
① 근저당권
이 말소기준권리이고 그 이후에 설정된 ②, ③은 낙찰되면 말소됩니다.
하지만! ① 이전에 전입·확정일자를 받은 임차인이 있다면? 그 보증금은 낙찰자가 인수할 수 있습니다 ⚠️
🧾 등기부등본 보는 순서 요약
- 표제부 확인 – 대지권, 주소, 구조 체크
- 갑구 확인 – 소유자, 가처분, 가등기, 압류
- 을구 확인 – 근저당, 임차권, 전세권
- 말소기준권리 체크 – 이후 권리 말소 대상 여부 판단
- 선순위 임차인 존재 여부 확인
🧠 초보자들이 자주 하는 등기 해석 실수
- 가처분이 말소된다고 착각
- 말소기준권리보다 빠른 임차인 분석 누락
- 대지권 미등기인데 확인 안 하고 입찰
- 전입일과 확정일자의 우선순위 판단 오류
- 지상권의 철거 불가능성 간과
💡 이 모든 실수는 ‘낙찰 후 수익률’에 직격탄이 됩니다!
📚 권리 분석을 위한 보조 자료들
- 등기부등본 (등기소, 인터넷등기소)
- 주민센터 발급 확정일자 확인
- 건축물대장 – 무허가, 용도 위반 확인
- 법원 매각물건명세서 – 임차인 정보 필수
- 현장조사 – 실거주자/공실 여부 직접 확인
📌 실전 팁! 이런 경우 입찰을 피하세요
- 선순위 가처분 or 가등기 있음
- 소유권 분쟁으로 여러 명이 소송 중
- 말소기준권리보다 빠른 대항력 있는 임차인 있음
- 지분경매로 단독소유 불가
❗ 이런 물건은 아무리 싸게 나와도 입찰 금지! 손해 보장!
🏁 마무리 – 등기부등본, 이제는 읽을 수 있어요!
처음 등기부등본을 보면 낯설고 어렵게 느껴지죠. 하지만 하나씩 뜯어보고 용어를 이해하면
‘위험 물건’과 ‘수익 물건’을 구분할 수 있는 눈
이 생깁니다.
💬 “부동산 경매는 정보 게임입니다.” 남보다 1초 빨리 보고, 1줄 더 해석할 수 있다면 그게 곧 수익이 됩니다.
📘 오늘 알려드린 등기부 해석법으로 여러분만의 ‘안전 낙찰 습관’을 만들길 응원합니다!
👉 더 많은 경매 실전 가이드와 해석 사례는 공고미 블로그에서 확인할 수 있어요 😊
'일상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경매 명도 완전정복|법적 절차부터 협상 전략까지 한눈에 정리 (0) | 2025.04.26 |
---|---|
가정의 달 식탁을 채우는 건강 식재료 10가지|아이부터 부모님까지 챙기는 음식 (0) | 2025.04.25 |
2025 소비 트렌드 총정리|SNAKE SENSE 키워드로 본 미래 소비 심리와 전략 (0) | 2025.04.24 |
경매 낙찰 후 꼭 해야 할 5가지|초보자가 실수 없이 수익화하는 법 (0) | 2025.04.24 |
초보자를 위한 경매 입문 가이드|경매의 모든 것 A to Z (0) | 2025.04.23 |